사용자 조사 계획

User Research Plan
사용자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를 확인하고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알아낼 것인지 계획 하는 것
참여자
UXUI 전문가, 팀 구성원
소요시간
1시간
난이도
중간

이럴 때 사용해요

  • 사용자 중심 사고방식을 프로젝트에 처음 적용할 때
  •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
  • 제품과 사용자들에 대해 더 알아야할 때

이렇게 해보세요

  1. 사용자질문 리스트를 참고해 사용자에 대해 아는 정보를 작성한다.
  2. 작성한 내용을 추측 정보와 확실한 정보로 구분한다.
  3. 각 항목에 대한 확실성(낮은, 중간, 높음)를 표시한다.
  4. 각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떻게 정보를 수집할지 브레인스토밍한다.
  5. 결과물을 어떤 형태로 나타낼지 계획한다.

상세 내용

1. 사용자에 대한 질문 리스트를 만든다.

  • 30분에서 한시간 가량 할애하여 팀원들과 함께 사용자들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자유롭게 리스트로 작성한다.
  • (가장 주요한 사용자군/사용자 유형의 사람들은?
  • 사용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
  • 무엇에 실망하고 기뻐하는가? - 가장 중요한 사양과 기능은?
  • 구매나 재사용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?
  • 그들이 사용하는 다른 제품은?
  • 한 해/ 한 달/ 한 주 동안 이 제품을 사용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을 쓰는가?
  • 경쟁 제품은 무엇인가? - 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답답하게 여긴 점은?
  • 그들은 이 제품의 어느부분을 많이 사용하는가?
  • 고객이 달성하기 원하는 주된 목표는 무엇이며,이 제품/웹사이트의 어느 부분이 그러한 목표 충족에 도움이 되는가?
  • 가장 주요한 사용자군/사용자 유형의 사람들은?
  • 사용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
  • 무엇에 실망하고 기뻐하는가?
  • 가장 중요한 사양과 기능은?
  • 구매나 재사용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?
  • 그들이 사용하는 다른 제품은?
  • 한 해/ 한 달/ 한 주 동안 이 제품을 사용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을 쓰는가?
  • 경쟁 제품은 무엇인가? - 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답답하게 여긴 점은?
  • 그들은 이 제품의 어느부분을 많이 사용하는가?
  • 고객이 달성하기 원하는 주된 목표는 무엇이며,이 제품/웹사이트의 어느 부분이 그러한 목표 충족에 도움이 되는가?

2. 분명하게 알고 있는 것과 가정(추측을 구분하라)

  • 알고 있는 것, 가정하고 있는 것 표시한다
  • 가정하고 있는 각 항목에서 얼마나 확신하고 있는지 표시한다.
  • 이 작업을 하며 함께 묶거나 단순화 할 수 있는 질문이 있는지 찾아본다.

3.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연구방법을 결정한다.

  • 각 질문마다 그 분야의 데이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브레인스토밍 한다.
  •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디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 생각해본다. 예) 사용자들과의 1:1대면,설문조사, 로그분석 등

4. 결과물을 계획한다.

  • 리서치 분야에서 당신이 제시하려는 근거가 어떤 형태일지 생각해본다 예) 사용자 모델을 제시하거나 배포하는 것인지, (문장이 이상해서 추후 다시 정리) Tip
  • 팀원들에게 피드백을 구하라.
  • 작성한 학습 계획을 일정 간격으로 최신 버전 업데이트 하자.
사용자 조사 계획 인쇄용 워크시트
다운로드
사용자 조사 계획 피그마 워크시트
바로가기
목록으로
공유하기